137. 최종 결과
| 채용불가 (3~6) | 채용고려 (7~8) | 합격후보 (9~10) | 합격 (11~12) | 필히채용 (13~15) |
| 지식수준과 경험(경력),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? | 1 | 2 | 3 | 4 | 5 | ||||||
|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? | 1 | 2 | 3 | 4 | 5 | ||||||
|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,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? | 1 | 2 | 3 | 4 | 5 | ||||||
138. 기록 내용
- 질문의 의도를 잘 파악하지 못함. 긴장해서? → 끝까지 잘 파악하지 못함
- 결과를 먼저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부연 설명이 먼저 이루어짐
- 충분히 답을 할 수 있을 것 같은 질문들 (미먼 개발을 하면서 알게된 위성 역학, 위성 자체에 대한 이해) 을 했는데 답을 하지 못함. 뭐지?
- 박종수 주니어가 될 수 없음 (SGP4 알고리즘에 대해서 아는 바가 없음. 가져다가 쓴게 다임)
139. 내 서류 평가 의견
신입 - 석사 - 3.68/4.5 - 3.67/4.5 - 군필 |
140. 질의 응답
| 질문 | 답변 |
|---|---|
|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? 대전에 연고가 있나? 취업하면 집을 구해야 함? | 2022년 8월 졸업했음. 취업은 바로 가능함. |
희망연봉이 내규와 차이가 하는 부분이 있음. 금액을 물어볼 경우, 정확히는 말해주기 어렵지만 천만원 이상 차이가 남. | |
지원 직무가 Application 개발임. 전산학과 출신, SW 아카데미 출신들에 비해서 본인이 어필할 수 있는 장점은? | 위성 추적 및 데이터 수신 경험 소켓/네트워크 지식 문제 해결 능력 위성 역학 학습. 위성의 시스템에 대한 이해. → 그런데 잘 모르는 듯 함. 답변을 못함. 너무 긴장? |
| 왜 물리학과보다 개발이 적성에 맞다고 생각했나? 어떤 일이 있었나? | SW 구현. 태양계 모사 SW 구현. |
| 지원한 직무가 Application 개발인데 코딩 시험 성적이 너무 안 좋음. 왜 Application 에 지원했나? | Python 을 사용한 적이 오래 되었음. 준비가 덜 되었던 것 같음 |
입사를 하게 되면 Python 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, C++/C#/JAVA 를 사용하게 될 것임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워서 업무를 수행할 자신이 있나? 그 근거는 무엇인지 과거의 사례를 기반으로 설명해 달라 | 여러 과를 거쳐서 이런저런 경험들을 했음. 그 과정에서 여러 언어를 사용해봤었음 그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언어도 잘 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음 |
| 지상국을 개발해봤는데, 지상국의 어떤 부분에 대해서 관심이 있나?, S 대역 통신? | |
| 스펙트럼/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해서 어떤 정보를 얻었나?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나? | 매뉴얼 기만 장비 사용 가능. 시험 환경에서 어떻게 장비를 설정해야 하는지 경험했음 |
| TLE 기반 SGP4 알고리즘을 개발? 이미 다 있는 것들 아닌가? 안테나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을 만들었다는 것? | NASA 에서 제공하는 것을 가져다가 썼음. 안테나 제어용 |
| 왜 TCP 가 아닌 UDP 를 사용? | 기성품이 UDP 통신을 지원했음 |
141. 합격 전달 의견
- N/A