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22. 최종 결과

채용불가
(3~6)
채용고려
(7~8)
합격후보
(9~10)
합격
(11~12)
필히채용
(13~15)


지식수준과 경험(경력),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?12345
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?12345


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,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?12345


123. 기록 내용

  • Python 질문 by 김의중
    • GIL (Global Interpreter Lock?) 에 대해서는 모름
    • multi thread 는 오류 발생 시, 문제 포인트를 파악하기 힘듬. 그 경우 아니면 multi thread 사용해도 좋음
  • 디버깅 방식 질문 by 김의중
    • 최대한 unit test 적용 시도 → unit test 가 전지전능? unit test 를 전적으로 믿기 위해서는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?
      • 정상 경우 및 임계값 관련 test code 작성해 봤음
      • A 가 나와야 하는데, B 가 나오면 안된다? 는 왜 필요하지? → 습관적으로...
    • 로그 중심 디버깅
  • 대학원 진학은?
    • 하려는 연구 주제/분야가 생각나지 않았기 때문에 진학에 마음이 없음
  • 10년 후?
    • 시니어 개발자
      • 주니어 개발자 리딩
      • 개발자 커뮤니티에 기여


124. 내 서류 평가 의견

신입 - 학사 - 3.77/4.5 - 미필
희망 3500
백마 인턴 (5팀? 9팀?)
전문연구원도 아니고, 미필이라니…
영어 잘 함
실리콘밸리 단기 연수에서 만난 개발자들을 통해 소통의 중요성 인지
창업 도전했다가 실패한 듯, 어떤 아이템, 왜 포기?
안전하고 아름다운 코드를 지향. 어떻게?
우주산업에 관심이 있었음
잘해 보이는데 왜 끌리지는 않지?? - 미필이라 그런듯
0 -> 1, 성적 좋음. 보충역 학사 산업 기능 요원 가능함. 전화를 통해 DevOps 도 가능하다고 확인 받음

125. 질의 응답

질문답변
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? 대전에 연고가 있나? 취업하면 집을 구해야 함?2023년 2월, 대전에 자취

어떤 아이템으로 창업을 준비했나? 어떤 아이템이었나?

당뇨병, 왜 그만둠?

가능성은 확인했는데 고객 분석, 타 업체 분석 등을 하지 못했었음

차별성이 없었기에 투자 받기 어려울 것 같아서 접었음

본인이 생각하는 아름다운 코드란?

가독성, 확장성

method 에 대해서 불필요한 파라메터 지양 (CRUD 를 명확하게!!)

단일책임원칙

중복 제거

예시를 작성해 달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 제거에 대해서 설명했음 (다소 단순했음)

본인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아름다운 코드를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 DevOps 측면에서 어떤 것을 하면 좋을까?

CI 환경에 제한을 둠

Lint 등을 사용

2021년 GT5 에서 인턴 종료 시, 피드백을 받았었나? 어떤 피드백이었는지 기억나나?

말미에 업무 집중도가 떨어졌다고 들었음. 본인도 그렇게 생각하나?

알바 제안

도메인 지식을 쌓느라 시간이 더 걸렸었음

레거시를 기반으로 코딩해 본 경험?

레거시를 좋은 구조로 바꿔본 경험이 있나? 왜냐면 회사에는 이미 레거시들이 있고 그를 기반으로 업무를 진행될 수 있기 때문임

없음
속목? 졸음운전 방지 IoT 의 main contribution 이 무엇인가?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조합을 잘 만든 것? 음성 피드백, 게임적인 요소
디지털 취약계층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접근 방법은? 뭐가 문제? 어떻게 해결?

이미 구성된 키오스크가 도입되지 않는 것이 문제

비취약자, 취약자가 모두 쓸 수 있는 형태 구현 → 딱히 다가오지 않음

126. 합격 전달 의견

  • BE 개발자를 거쳐서 DevOps 개발자가 되려고 희망하고 있음
  • DevOps 에 대해서 관심이 많고 DevOps 에서 많이 사용하는 Python 언어가 주 개발 언어임. (수준은 중간 정도로 판단함)
  • Backend 개발을 했던 경험이 있고 CI 시에 검사해야 할 여러가지 제약(ESLint 등)을 사용했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DevOps Pipeline 을 생성/관리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판단함
  • GT8 에서 SRE 를 위한 Tool 을 개발 및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역량도 있어 보임
  • 문제 발생 시, 혼자 해결을 하려고 끌어안는 경우가 있어 보임. 이로 인한 원활하지 않은 의사소통 및 업무 지연이 염려되는 부분임. 이 부분을 적당히 care 한다면 협업하는데 문제 없다고 판단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