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재중 : 소프트웨어 설계 방법 및 순서

1. 요구사항 분석

1.1. 적용범위

  • 기본설계, 상세설계 및 시험계획 및 시험절차서의 입력자료

1.2. 입력

  • 요구사항 정의서

1.3. 수행 방법

1.3.1. 기능/성능 요구 분석

각 요구사항 별로 다음의 내용을 분석하여 정의한다.

  1. 요구사항 ID, 요구사항 명, 요구사항 내용
    1. 요구사항 내용을 기록
  2. 제약 및 고려 사항
    1. 설계 시 고려 사항: 요구사항을 설계 할 때 고려할 사항 및 특징이 있는 경우 이를 기록
    2. UI 관련 고려 사항: UI와 연관된 고려사항 및 특징이 있는 경우 이를 기록
    3. 연관된 요구사항: 요구사항과 연관된 다른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이를 기록
  3. 검증 방법
    1. 검증 타입: 각 요구사항 별 검증 타입 (Test, Demonstration, Inspection, Analysis)을 기록
    2. 전제 조건(입력): 요구사항을 시험 및 검증하고자 할 때 사전에 요구되는 전제 조건 및 입력을 기록
    3. 요구사항 결과 (출력): 요구사항의 결과로 생성 및 전시하게 되는 결과를 기록
    4. 필요실험 툴: 기능/성능 검증을 위해 필요한 실험 툴 기술
    5. 성능 분석 항목: 성능 검증에 고려해야 하는 항목(ex: 시간, 자원)을 분석하여 도출
    6. 검증 방법 (성공조건): 요구사항을 만족했다고 확인할 수 있는 성공 조건을 기록
  4. 데이터 분석
    1. 요구사항에 명시된 데이터 목록을 도출하고 데이터의 종류, 저장 종류, 생성자, 상세 구성 항목을 기술
    2. 데이터 종류: 데이터의 특징에 따라서 아래의 항목을 선택하여 구분하여 기록(1개 이상 선택될 수 있음)하고 추후 기본설계의 데이터 목록 추출에 활용
      1. Configuration Data (CD): 설정 및 구성 데이터
      2. Interface Data (ID): 서브시스템 간에 상호 교환되는 데이터
      3. Display Data (DD): 전시를 위해 생성되는 데이터
      4. Analysis Data (SD): 특별한 기능 수행 및 분석을 위해 생성되는 데이터
    3. 저장 종류: 저장되는 구간에 따라서 아래의 항목을 선택하여 구분하여 기록(1개 이상 선택될 수 없음)하고 추후 기본설계의 기능 목록 추출에 활용
      1. Archive Data (AD): 파일 혹은 DB에 저장관리 되어야 하는 데이터
      2. Temporary Data (TD): 기능 수행 결과 혹은 화면 전시를 위해 임시로 생성되나 저장관리 되지 않는 데이터
      3. Periodic Data (PD): 로컬 파일시스템이 일정 기간 (1일 미만)동안 생성되는 데이터
  5. 기능 분석
    1. 요구사항에 명시된 기능 목록 도출 및 데이터 목록에 도출된 데이터의 CRUD(Create/Read/Update/Delete) 및 조작에 필요한 기능을 기술
    2. 구분: 각 도출된 기능이 존재할 Layer 위치를 아래의 3가지로 나누어서 기록
      1. Presentation Layer (PL):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화면 전시와 관련된 기능들이 배치되는 Layer
      2. Business Layer (BL):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능들이 배치되는 Layer
      3. Data Layer (DL): 데이터와 관련된 CRUD기능들이 배치되는 Layer
    3. 결과물: 각 기능이 수행된 후 생성될 수 있는 결과 (특정 결과 데이터 및 화면전시)에 대한 기술
      1. 만약 정의된 기능 항목이 다른 요구사항과 겹치는 경우는 이를 명시한다.

1.3.1.1. Sample

  • 요구사항
    • SRF-COM-010 검색 결과 Export

      • 모든 서브시스템은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된 결과를 Export 형식 (CSV, PDF)으로 변환하여 출력해야 한다.

  • 제약 및 고려 사항
    • 설계 시 고려사항
      • 서브시스템 검색 결과는 테이블 형식으로 표출하여 테이블이 Export 되도록 구조 설계

      • CSV로 Export 변환 시, Header에 들어갈 제목에 대한 사전 도출 및 기준 설계 필요

      • PDF로 Export 변환 시, PDF 표준를 준수하도록 스펙에 기반하여 설계 구현

    • UI 관련 고려사항
      • 화면에 전시되지 않지만 CSV, PDF로 Export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필요
      • 검색 결과는 처리성능을 고려하여 Paging 처리 필요
    • 연관된 요구사항
      • SFR-xxx-123 통합 검색
      • SFR-yyy-123 제품 Export
      • SFR-zzz-123 데이터 통합 검색
  • 검증 방법
    • 검증 타입: Demonstration
    • 전제조건 (입력)
      • 서브시스템 별 입출력 자료
    • 요구사항 결과 (출력)
      • 검색 결과를 CSV로 저장
      • 검색 결과를 PDF로 저장
    • 별도 시험 툴: Adobe Reader, 메모장
    • 검증 방법 (성공조건) 
      • 검색 결과를 CSV로 Export하여 메모장에서 전시가 되는지 확인
        • 메모장에서 화면과 동일하게 내용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
      • 검색 결과를 PDF로 Export하여 Adobe Reader에서 전시가 되는지 확인
        • Adobe Reader에서 화면과 동일하게 내용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
  • 데이터 분석
데이터 항목종류저장생성자설명
검색 결과 정보DDTDSubsystem1서브시스템 별 검색 화면에서 검색된 결과 (검색 시, 검색 자료 별로 정보)
검색 결과 CSV 파일DDPDSubsystem1검색 결과 정보를 CSV의 형태로 저장한 파일 (운영자 요청 시, 검색 결과 정보)
     
HW 상태정보SDAD 서브시스템의 장비 별 상태정보 (1회/1초, CPU, RAM, Disk, Network 사용률)
저장소 자료IDAD 서브시스템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
서브시스템 자원 설정CDAD  
  • 기능 분석
기능설명구분결과물
검색 결과 CSV Export검색 결과 정보를 취합하여 CSV 로 ExportBL검색 결과 CSV 파일
검색 결과 PDF Export검색 결과 정보를 취합하여 PDF로 ExportBL검색 결과 PDF 파일
검색 화면 전시서브시스템의 자료에 대해서 검색하는 화면 전시PL검색 화면

1.3.2. 사전 검증 

기능 및 성능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서 사전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항목을 도출하여 정의한다. 각 도출된 항목에 대하여 다음의 내용을 분석하여 기록한다.

  1. 검증 목적: 사전 검증 항목으로 도출한 근거
  2. 검증 방식: 프로토타입, 수치 분석과 같은 검증 방식을 기술
  3. 입력 자료: 도출된 항목을 검증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자료
  4. 주요 기능 (절차): 도출된 항목이 프로토타입의 경우 프로토타입이 갖게 되는 기능을 기술
  5. 시험 방법: 사전 검증 항목을 어떻게 시험하고 검증 완료 조건 (성공조건)을 기술

1.3.2.1. Sample

공통의 기능 및 성능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도출한 사전검증 항목은 다음과 같다. 

ID항목목적검증 방식관련요구사항
COM-PV-010서브시스템 저장소 관리

서브시스템 저장소 효율적 구조 도출

  • 저장소 방식 및 구조
  • 저장소 저장 및 관리 방안
프로토타입SFR-xxx-123
  • 서브시스템 저장소 관리
    • 서브시스템 저장소는 서브시스템 별로 관리하는 저장소이다. DPS, FDS, MPS, CCM, MSS와 같은 서브시스템의 저장소를 통일된 방식으로 정의하여 관리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전 검증을 수행한다.

      • 검증 목적:
        • 저장소 저장 및 관리 방법의 안정성 검증
      • 검증 방식: 프로토타입
      • 입력 자료: 서브시스템 별 다양한 입출력 자료
      • 주요 기능: 저장소 공간 구성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타입 구현
        • 저장소 공간 구축
        • 자동 저장소 관리 기능
        • 대용량 자료가 저장된 저장소에서 검색 및 조회, 관리 기능
      • 시험 방법 (성공조건)
        • 저장소 공간이 1주 이상 안정적으로 장애 없이 운영되는지 확인
        • 대용량 자료가 자원 경계치를 넘어서면 자동 관리 기능이 수행되는지 확인
        • 자동 관리 기능에 의해 조건에 맞는 자료들이 삭제되는지 확인

1.4. 출력

  • 아래 내용을 포함한 요구사항 분석서
    • 요구사항 별 검증 방법
    • 데이터 분석 결과
    • 기능 분석 결과
    • 사전 검증 항목

2. 인터페이스 정의서

2.1. 적용범위

  • 모든 설계서의 입력자료

2.2. 입력

  • 요구사항 분석서
    • 데이터 항목 중 종류가 ID 로 분류된 항목
  • 기 정의되어 있는 ICD (Interface Control Document)

2.3. 수행 방법

 

2.4. 출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