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재중 : [CAS17B] 문서 검토

 

Review by Han jaejoong (SI)  

Doc.
Page
Comment
Conclusion & Further Action
운영개념기술서15
  • 궤도요소 데이터는 OPD 만 있어도 되는 것인가? 
 
운영개념기술서18
  • 승인된 촬영계획은 촬영요구 시스템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? 
  • 66 페이지에서 설명하고 있음. 승인된 촬영 계획 영역이 있더라도 최종적으로는 QA 에서 승인되어 커버되었다고 판단된 영역 이외에 대해서 촬영 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것이라 생각함
운영개념기술서23
  • 촬영계획관리 서버 S/W 란?
 
운영개념기술서39
  • 일간 점검에서 촬영계획/직저장데이터를 매일 모의로 생성 및 저장해야 함?
    • DB 를 별도로 사용? 아니면 Test 라고 해서 실 운영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설정 필요
  • 101 페이지를 보니 모의 데이터는 모두 삭제한다고 되어 있음
운영개념기술서56
  • 최신 SW, 파라미터를 설치 및 설치 완료한 뒤,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주체는 지리원 운영자겠지?
  • 하지만, 항우연에서 무엇을 어떻게 확인해야 하는지는 운영에 지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지침을 주야 함
 
운영개념기술서64
  • 미 촬영된 촬영 주문 영역을 알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함. 승인된 촬영계획은 큰 의미가 없음. 주문 영역을 커버했는지 확인해 주어야 함. 커버된 영역은 제외해 줘야 함.
 
운영개념기술서65
  • 전송이력 저장을 위해서 ICPS 에 해당 기능을 추가하거나 FTS Task 에서 수행해 줘야 함. ICPS 에서 ICP File 을 특정 폴더에 생성하고 항우연에서 Pull 해 가는 인터페이스는 안됨
  • 기본설계서 46 페이지의 그림을 보면 파일 자동 전달 S/W 를 통해 항우연으로 push 하는 형식임
운영개념기술서67
  • 직저장데이터 수신 대기는 FTS Task 의 polling 과 같은 개념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맞나?
 
운영개념기술서81
  • 로그 관리를 위해서 모든 시스템의 로그 인터페이스를 정의해야 함. 기 개발된 타 프로그램
 
운영개념기술서94
  • 카탈로그 원본은 Tiff 영상을 뜻하는 것인가? 위성정보의 원본영상은 Band 별 영상인가? 아니면 합성 결과를 출력해야 하나? 지도에 도시해줘야 하나? (Browse 영상보다 훨씬 고해상도)
 
운영개념기술서96
  • 각 시스템에 설치된 백신 프로그램를 한 곳에서 리모트로 업데이트 가능한가? V3 의 경우, 해당 기능을 제공해 주는지 조사 필요하다 생각함
  • 기본설계서 136 페이지의 설명을 보면 V3 에서 관련 시스템을 제공해 줌
기본설계서23
  • 서울 사이트에서 사용한 RoseHA 와 기본설계서에서 언급된 everRun 비교가 필요할 듯 함
    • RoseHA 는 이중화 구성을 위한 온라인 스토리지가 필요함. 실행되어야 하는 모든 S/W 와 관련 데이터들은 온라인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어야 함
    • 50 페이지의 그림을 보면 everRun 은 그렇지 않아보임. 물론, 개념 설명 상 온라인 스토리지가 생략된 것일 수도 있음.
 
기본설계서26
  • 항우연과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이 기반환경 시스템인가? 운영관리 시스템이 아니라?
 
기본설계서28
  • 촬영 요구 시스템에 등록되는 주문으로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 승인된 주문만 ICPS 에서 볼 수 있는 DB 에 입력하는 개념인데 그게 맞나?
  • 45 페이지 그림에서는 승인 여부와 상관없이 촬영주문/검토결과를 모두 DB 에 입력하는 것으로 보임
 
기본설계서30
  • 지리원에서는 수신 계획은 전혀 수행하지 않나?
  • 촬영 계획은 무조건 Record 인가?
  • 항우연에서 승인된 촬영 계획에 대해서는 무조건 직수신으로 변경하나?
  • 그렇다면 한반도만 촬영하나? 착수보고 회의 때, 북극/남극도 촬영한다고 했는데, 언제 받게 될 지는 모르는 건가? Near-Realtime 이라고 봐야 하나?
  • Realtime 과 Record 의 위성 제약 사항 (BOP Constraints) 가 다를 것이기 때문에 지리원에서는 OK, 항우연에서는 NOK 가 되는 경우들이 있을 수 있음
 
기본설계서34
  • 직저장데이터의 카탈로그란? Pass browse 는 아닌듯하고...L0F 의 메타데이터를 뜻하나?
 
기본설계서49
  • ICPS 통합 방안을 보면 ICPS 와 수집시스템은 별도의 DB 를 갖는 것으로 보임
 
기본설계서51
  • 온라인/니어라인이 저장관리 시스템의 것이 아니라 기반환경 시스템에 속하나?
 
기본설계서57
  • 영상 제품 처리 시, L0F 를 읽어오는 위치는 온라인 저장장치의 임시 저장공간인가? 아니면 저장관리 시스템의 온라인 저장공간인가?
  • 66 페이지의 그림을 보면 온라인 저장장치의 임시 저장공간에서 L0F 를 가져오도록 되어 있음
기본설계서60
  • 위성 정보 수신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작업지시서와 저장관리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것은 어떻게 다르고 시점은 언제인가?
 
기본설계서94
  • 그림에서 보면 위성정보를 복원하는데 표준영상을 생성해서 전달하나?
 
기본설계서99
  • 저장 공간 계산에서 한반도 촬영만 고민했는데 극지방 및 타지역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함
 
기본설계서137
  • NTP 서버는 있는데 GPS 안테나에 대한 내용이 없음. 관련해서 정의가 필요하다 생각함
 
기본설계서172
  • 계층적 저장관리를 우리가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HSM 솔루션을 구입해서 쓰는 것?
 
N/AN/A
  • 요구사항 분석 결과인 기능/데이터/화면 요소들에 대한 내용은 대체 어디에???
 
항목내용 (답변)관련 정보답변
인터페이스
  • 활용시스템에서 촬영요구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<촬영 주문>의 형식은 정의되었는가? 기존 K3 의 ICR 과 동일한가?
제안서 III-5
  • 컨텐츠는 정해지지 않았음. 기본적으로 항우연과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됨
인터페이스
  • 촬영요구 시스템에서 운용관리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<촬영계획>의 형식은 정의되었는가? 기존 K3 의 ICP 와 동일한가?
제안서 III-5
  • 컨텐츠는 정해지지 않았음. 기본적으로 항우연과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됨
기능 - 촬영요구 시스템
  • 촬영요구 시스템에서 주문 관리 및 촬영 가능일 계산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것인가?
    • 1회성이겠지?? 촬영계획 생성 전에 꼭 해야 하는 것인가??
  • 촬영 가능일 계산의 경우, 촬영요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주문에 대해서 최적화하여 계산하면 되는 것인가?
  • 촬영요구 S/W 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사항인가?
제안서 III-6
  • 요구사항 만족을 위해 들어간 개념
  • 상세 설계 시에 개념 상세화를 해야 함
  • 1회성이 맞음
기능 - 운용관리 시스템
  • L0F 에 대한 표준영상 생성 및 정사영상 생성 확인은 DB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함
제안서 III-7
  • 그렇게 맞춰야 함
기능 - 운용관리 시스템
  • 소프트웨어 상태 확인이란??
제안서 III-7
  • 단순 프로그램 실행 개수 정도
  • 제대로 되지 않았을 경우, 알람 정도
기능 - 위성정보수신 시스템
  • L0F 를 수신할 때, MWD 를 자동 수행? 아니면 L0F 수신 확인을 할 때, MWD 자동 수행? MWD 자동 수행의 의미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음
제안서 III-8
  • KARI 에서 L0F 를 수신 받으면 수신이 종료된 후에 MWD 를 자동으로 실행해 주는 것
인터페이스
  • 촬영주문은 누구에게서 전달되는가? 형식은 무엇인가?
  
기능 - 촬영요구 S/W
  • ICPS 의 주문 관리 기능을 그대로 이용해도 무관?
제안서 III-44
  • 무관함. 현재 안은 ICPS 에서 사용하던 주문 관리 모듈을 그대로 사용해도 됨
기능 - 촬영요구 S/W
  • OAS 의 주문 분석 기능을 그대로 이용해도 무관?
  • Pitch Tilt Angle 고려해야 하나?
  • Scene 단위의 편집을 지원해야 하나?
제안서 III-46
  • 현재의 안은 그러함
    • K3 UIS 를 그대로 사용하는 개념
  • 실제 운영에 따라 개념 자체가 통째로 바뀔 수 있음
인터페이스
  • <촬영요구> 의 형식은 무엇인가? MSS <-> ICPS 사이의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것인가?
  • <촬영요구> 를 ICPS 로 전달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한가?
    • DB 로 퉁치나?
  • ICPS 에서 관련 기능에 대한 수정이 필요한가?
제안서 III-50
  • DB 로만 인터페이스 할 계획
기능 - 촬영요구 S/W
  • 승인된 촬영 계획에 대한 확인을 촬영요구 S/W 에서 확인해야 하나? ICPS 에서 확인해야 하나?
제안서 III-53
  • 현재 KARI 에는 본 운영 개념이 없음
  • MT 를 받아서 MT 에 기록된 수신을 받지 못했을 경우, rejected 촬영 계획이라고 봐야 할 것 같음
    • MT 인터페이스 필요
    • MT 에는 촬영/수신 정보가 모두 존재함
    • Daily Operation
기능 - 위성정보수신 S/W
  • L0F 처리는 FTS 에서 수행하고 별도의 모니터링 S/W (including Playback MWD) 만 존재하면 될 듯 함
제안서 III-55
  • 수신 상태 확인 GUI 때문에 FTS 로 퉁 칠 수 없음
인터페이스
  • L0F 를 전달받을 때, RHCP/LHCP 병합된 데이터를 받을 지, 각각의 데이터를 받을 지 정의 필요
  • KARI 에서 Push? 위성정보수신 S/W 에서 Pull?
제안서 III-55
  • KARI 에서 Push
  • L0F 를 전달
    • KARI naming rule 을 따름
기능 - 위성정보수신 S/W
  • L0F 수신 상태의 경우, DIS 에서 Trend Chart Data (binary) 를 전달해 주지 않는 한, Trend Chart 를 도시할 수 없음
    • Text 기반의 데이터만 전달받을 수 있음
제안서 III-55
  • 그릴 수 없으면 안 그리면 됨
기능 - 위성정보수신 S/W
  • 본 S/W 에서 L0F 에 대한 L1R/L1G 영상 생성 여부까지 확인을 해야 하나?
    • 운용관리 시스템에서 수행해야 하는 것 아닌가?
    • 기능의 중복이 있어 보임
  • 본 S/W 에서는 L0F 에 대해서 L1R/L1G 생성 요청 PGR 생성 여부만 확인하는 것이 맞아보임
제안서 III-56
  • 빼도 상관 없음. 생성 요청까지만 보여주면 됨
용어
  • 표준 영상이 L1R/L1G 인가? 아니면 L1R 만인가?
  • 정사 영상이 L2 인가?
제안서 III-59
  • 표준 영상 - L1R/G (PMS 산출물)
  • 정밀 정사 영상 - L1R+, L1G+, L2 (정밀 영상처리 시스템 산출물)
기능 - 위성정보수신 S/W
  • L1R 생성 후, L1G 를 즉시 생성하려면 본 S/W 에서 PMS WO 의 상태를 모니터링 해야 함
    • 11번 항목과 위배
  • 정사영상
제안서 III-59
  • 현재의 안으로 갈 지, 중간 단계를 추가할 지 나중에 고민이 필요함
  • 어떤 시스템에서 해야 할 지도 나중에 고민해야 함
인터페이스
  • 정사영상생성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주체가 FTS 가 나는 것이 맞나? 아니면 PMS Server 가 직접 전달하는 것이 맞나?
제안서 III-62
  • PMS 에서 해도 상관 없음
기능 - 저장관리 S/W
  • 본 S/W 에서 Catalog 를 검색?
  • 지도가 존재해야 하는 것인가?
  • 웹으로 개발해야 하는가?
제안서 III-78
  • 검색 기능이 있는 것이 맞음
  • 지도 존재해야 함. 2D/3D
  • 단순 검색 및 관련 데이터 제공 기능만 있음
  • 저장할 구성정보가 필요함
    • Level Product, L0F 등...
  • 웹은 본 과제에서 개발하지 않음!!! 모두 윈도우즈 어플리케이션!!!
인터페이스
  • 저장관리 S/W 에서 활용시스템으로 위성 정보를 전달?
  • 주문정보까지 본 S/W 에서 검색?
  • 왜 이렇게 된 것인지?? ㅡ.,ㅡ
제안서 III-79
  • 전달하는 것이 맞음
  • DB 를 기반으로 검색해야 함
기능 - 운영관리 S/W
  • 사용자의 기능 권한을 동적으로 할당해 줘야 하나?
  • 만약 그렇다면 기능의 단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문의가 필요하나? 아니면 내부적으로 결정하면 되나?
제안서 III-84
  • 권한 별 기능 접근은 하드코딩
기능 - 운영관리 S/W
  • 운영관리 S/W 는 웹으로 개발하나?
 
  • No
인터페이스
  • 운영관리 S/W 에서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FTS 는 사용하지 않는 것인가?
제안서 III-94
  • 인터페이스는 FTS 로 가는 쪽으로 설계하면 됨. 바뀌어도 되고...
환경
  • 위성정보수신/저장관리/운영관리 시스템 이중화는 어떻게 할 계획인가? 솔루션을 사용하나? 직접 구현하나?
    • ROSE-HA 솔루션의 경우, 공유 저장소가 필요함
운영개념 분석 및 정리 - 26, 29, 31
  • 우리는 제안만 함
기능 - 운영관리 S/W
  • GPS 시각동기화의 경우, 서버와 로컬의 시간 차이가 일정 이상일 경우만 하는 것인가? 무조건 수행하면 되는 것 아닌가?
운영개념 분석 및 정리 - 111
  • 우리 마음대로...
기능 - 기반관리 S/W
  • 방역관리 백신업데이트의 경우, 수집 시스템에서 직접 수행하는 것인가? 백신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가?
운영개념 분석 및 정리 - 124
  • V3 이야기 하는 것임
기능 - 저장관리 S/W
  • Catalog 검색을 위해서 3D Map 까지 있어야 하는 것인가?
분석보고서 - 25
  • 있어야 함
환경 - 저장관리 S/W
  • 저장용량 계산에서 CAS-1 에 대해서만 계산하는 것이 맞나? 아니면 CAS-2 까지 고려해야 하는 것인가?
분석보고서 - 28
  • 둘 다 고려해야 함
기능 - 운용관리 S/W
  • GPS 시각 동기화 상태를 시각화해야 함. 본 S/W 를 웹으로 개발할 것이라면 공통모듈에 본 기능과 관련된 웹 모듈을 추가했으면 함
분석보고서 - 29
  • 웹 개발하지 않음